기준금리는 오르는데 내 예금이자는 왜 그대로일까?
최근 뉴스를 보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했다는 소식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많은 사람들은 “금리가 올랐다는데 왜 내 예금이자는 그대로일까?”라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실제로 기준금리가 인상되었다고 해도, 정작 시중은행 예금 및 적금 금리는 큰 변화가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이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기준금리와 예금이자 사이의 관계, 그리고 은행의 입장과 현실적인 이유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기준금리는 무엇이고, 왜 올릴까?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시장 전체의 금리를 조절하기 위해 설정하는 기본 금리입니다. 이는 시중은행이 한국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금리로, 모든 대출, 예금, 채권 금리의 기준이 되는 숫자입니다.
한국은행은 물가가 오르거나 경제가 과열될 조짐이 보일 때 기준금리를 올려서 돈의 흐름을 줄이고, 반대로 경기가 침체될 때는 금리를 낮춰서 시장에 돈이 돌게 만듭니다. 이처럼 기준금리는 경제를 조절하는 레버역할을 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기준금리와 예금이자, 왜 차이가 날까?
기준금리가 오르면 당연히 예금이자도 함께 오를 거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그렇게 단순하게 움직이지 않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시중은행이 기준금리를 그대로 반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은행은 기업이 아니라 수익을 추구하는 ‘사업자’입니다. 기준금리가 오른다고 해서 은행이 고객에게 무조건 더 많은 이자를 줄 이유는 없습니다.
또한, 기준금리는 은행 간 거래에 적용되는 금리고, 실제 시중은행이 고객과 거래할 때 참고하는 것은 **시장금리(채권금리, 코픽스 등)**입니다. 이 시장금리는 정부정책, 수요공급 은행의 자금사정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움직입니다. 즉, 기준금리가 올라도 시장금리가 그대로라면 예금이자도 그대로일 수있다는 뜻입니다.
은행은 왜 예금이자를 쉽게 올리지 않을까?
은행 입장에서 예금이자율을 올린다는 건, 고객에게 더 많은 돈을 지급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반면, 대출이자는 기준금리가 오르면 빠르게 반영해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이 차이에서 **은행의 마진(이자차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최근 몇 년간 고객의 예금 유치 경쟁이 줄어든 것도 이유입니다. 금리 외에도 투자처가 마땅치 않아 많은 사람들이 돈을 그냥 예치하기 때문에, 은행 입장에서는 굳이 금리를 올리지 않아도 고객이 빠져나가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은 ‘특판 예금’이라는 이름으로 일부 고금리 상푸밍 나오긴 하지만, 그것조차도 한정적이고 단기적입니다.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이런 구조를 이해했다면, 예금, 적금에만 의존하는 자산 관리는 더 이상 최선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소액 투자, 국채나 ETF, 개인형 IRP 등 다양한 저위험 대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무조건 투자를 하라는 의미는 아니지만, 예금이자만으로는 자산을 지키기 어려운 시대라는 점은 분명합니다.
또한, 은행별 예금금리는 비교해보는 습관도 필요합니다. 금융감독원, 각종 비교 사이트, 금융 앱을 통해 매달 갱신되는 금리 정보를 체크하면 조금이라도 더 유리한 조건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기준금리는 경제 전반의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 같은 역할을 합니다. 예금이자만 보고 실망하기보다는, 그 배경과 구조를 이해하고, 금리가 말하는 흐름을 읽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오늘 칼럼이 여러분의 금융 감각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특판 예금의 진짜 수익률은 얼마일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